
석면해체 전문 업체 스마트환경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현장은 김해에 위치한 태권도장입니다.
석면 조사 결과 천장재로 석면 텍스가 사용되어 해체 공사를 진행했습니다.
텍스가 바로 노출되어 있지 않고 석고보드로 덧방이 되어있어 쉽지 않은 작업이 예상되었습니다.
텍스가 바로 노출되어 있는 경우는 고정된 나사만 풀면 손쉽게 해체가 가능하지만
벽지나 석고보드 등이 덧방이 되어있으면 먼저 덧방이 되어 있는 것들을 철거해야 합니다.
천장 해체 작업 전 벽과 바닥을 비닐 보양지로 밀폐시켜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분진이나 가루 등으로 인해 외부가 오염되지 않도록 해줍니다.
모서리나 날카로운 부분은 마감 처리를 꼼꼼하게 하고
찢어지는 곳이 없도록 신경 써서 보양 작업했습니다.
바닥과 벽이 만나는 부분은 테이프로 마감 처리를 해 새는 곳이 없도록 조치했습니다.
보양이 완료되면 보양 상태를 점검해 주고 미흡한 부분이나 찢어진 곳이
있으면 보수 작업을 해 완벽한 밀폐 공간을 만들어야 합니다.
완전히 밀폐 후 음압기를 가동해 작업장 내부와 외부의 음압을 유지해 줍니다.
음압기는 작업 시작 전 가동해 -0.508mmH2O가 작업이 끝날 때까지 유지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음압 기록 장치로 그 기록은 저장 및 보존해야 합니다.
해체 작업이 끝나고 작업장 내 공기 중 농도 측정 결과가 나올 때까지 음압기는 계속해서 가동합니다.
석면 해체 공사에 투입되는 작업자들은 특수건강검진과 기초안전교육을 모두 이수한
전문 인력들이며작업에 들어갈 때는 석면의 유해성으로부터 작업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개인 안전보호구를 지급해 착용할 수 있게 해야 합니다.
개인 안전 보호구를 모두 착용하고 제일 먼저 작업장 전체를 습윤화 시켜야 합니다.
작업 중 분진이 비산되기 때문에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작업이기 때문에 필수로 진행해야 하는 작업입니다.
습윤제를 분무 후 충분한 습윤 상태가 되면 해체 작업을 진행하는데
작업 진행 중에도 분진이 발생하기 때문에 습식 작업은 계속해 줍니다.
텍스 해체 작업이 끝나면 폐기물은 지정된 수거 업체에서 수거해 갑니다.
부산, 경남, 경북, 충북 등 다양한 지역에 지사를 두고 있는 스마트환경은
석면철거가 필요한 곳이라면 전국 어디든 공사가 가능합니다.
석면 해체 공사 진행 과정과 견적이 궁금하시다면 언제든지 스마트환경으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