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구 덕천로 144 리모델링공사를 위한 철거공사 현장
“석면조사”란 건축물 등의 석면함유 여부, 함유된 석면의 종류 및 함유량, 석면이
함유된 물질이나 자재의 위치, 면적 또는 양 등을 판단하는 행위 전부를 말합니다.
석면조사자는 건축물에 대한 석면사용 실태조사 시 육안으로 석면의심 물질을 판별 후
각각의 바닥, 벽, 천장 등의 물질에 대하여 균질부분으로 구분하고
공간의 기능, 설계도서, 사용자재의 외관과 사용 위치 등을 조사합니다.

석면조사 부분 지하창고 화장실은 콘크리트 벽에 천장, 타일, 천장은 합판으로 되어 있으며
1층 사무실, 창고, 화장실 , 2층 주택 방, 거실, 화장실, 주방, 보일러실, 외부화장실은 콘크리트 벽면에
천장은 합판 주방엔 타일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석면조사는 고용노동부에서 정한 인력, 시설, 장비기준에 적합하여
석면조사기관으로 지정받은 업체에 한하여 조사를 실시 합니다.
미국 환경 보호청의 석면유해비상대응법로부터 석면조사자 자격을 획득하고
국내 대한석면관리협회로부터 석면조사자 교육을 이수한 전문가의 의해 진행합니다.
석면조사 시 건물관리인 또는 건물의 구조를 잘 알고 있는 담당자와 면담을 통하여
건물에 대한 기본 적인 자료(리모델링 여부, 시기 등)를 수집하고
설계도서, 자재이력, 물질의 외관 및 질감 등을 통해 석면함유여부가
의심되는 시료에 대해서는석면함유 여부 판정을 위해 고형시료를 채취합니다.
1층 사무실 천장재인 텍스와 2층 외부화장실 지붕에 사용된 슬레이트가 석면함유가 의심되에 시료를 채취해 분석했습니다.

천장재 텍스에서는 분석을 위한 고형시료를 채취합니다.
“고형시료 채취”란 석면조사를 목적으로 건축물 등에 사용된 물질이나 자재의
일부분을 채취하는 것을 말합니다.
채취한 고형시료는 편광현미경법을 이용하여 시료 중 석면의 함유 여부, 검출된
석면의 종류 및 함유율을 분석합니다.
텍스에서는 석면이 검출되었습니다.

일정규모 이상의 건축물 또는 설비를 해체·제거하고자 하려는
건축물 소유주 등은 지정 석면조사기관을 통해 석면조사를 한 후
그 결과를 기록·보존하여야 합니다.

부산시 북구 덕천로 144 철거공사 전 석면조사 결과보고서 해당 자재에 대한 석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PACM
(석면함유의심물질)으로 예측되는 천장재(텍스),지붕재(슬레이트)에서 시료를 채취 하였다.
채취된 천장재(텍스),지붕재(슬레이트)에서 신장부호, 분산염색, 형태 등 백석면 특성과 99%이상
일치하는 반응을 보였으며 함유량은 각각 4%, 13%로 석면이 검출되었다.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로 144 의 경우 건축물 전체(도면참조)를 철거 할 예정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