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한국석면조사입니다.
오늘도 비산농도측정과 관련하여 여러 자료들을 가져왔습니다.
비산농도측정을 왜 하는지, 물론 석면의 농도를 측정해야하기 때문인데요.
석면이 무엇이기때문에 이렇게 측정까지 하고 하는 것 일까요
저번에도 석면에 대해서 말씀드렸지만 이번시간에는 조금 더 디테일하게 말씀드리고
그리고 왜 비산농도측정이 필요한지도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석면은 일단 크게 각섬석계/사문석계로 나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중 각섬석계로 유명한 석면은 갈석면과 청석면이 있습니다.
갈석면은 다갈색과, 쥐색을 띄며 청석면은 푸른빛을 띄고 있습니다.
이 각섬석계 석면은 현미경으로 확대를 해보면
올 곧고, 날카롭게 생긴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인체 내에서 영향이 크고, 지속력이 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갈석면의 경우 지금은 생산이 중지되었지만 과거 남아프리카 연방의 트랜스벌 지방에서 자주 나왔다고 합니다.
정확한 섬유색상은 엷은 다갈색, 쥐색이고 대부분 50~100mm정도의 크기입니다.
청석면 보다 강하고 탄력이 있으며 휘어도 원상태로 복귀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주로 보온재로 많이사용을 하였습니다.
청석면의 경우 곧은 직선형이며, 약한 커브형태의 섬유 및 섬유다발 형태입니다.
두꺼운 섬유와 다발이 흔하고, 길이 대 지름의비가 10:1 정도 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사문석계의 백석면이 있습니다.
가장흔하고, 널리알려진 석면이며 건축자재용으로 많이 사용되어져 왔습니다.
전체 석면 사용량의 90%이상의 비중을 가집니다.

이러한 석면이 위험한 이유는 딱 한가지 때문입니다.
체내에서 녹지않고, 제거되지않아 평생 체내에 잔류 하는 성질 때문인데
호흡기를 통해 인체로 유입이되고 조직과 염색체를 손상시켜 암을 유발시킵니다.
미국 산업안전보건청에선 이 석면을완벽한 발암물질로 지정했습니다

그럼 이 발암물질인 석면이 어디에 가장많이 사용되어서
우리 실생활을 위협하는 걸까요
불과 몇 십년 전만 하더라도 '신의물질'이라며 많이 사용되어져 왔고
위험성도 없었던 석면은 2008년이후로 위험성이 널리 알려지고
금지되어져 왔습니다.
버스 또는 자동차 많이 이용하시죠?
그 차들이 브레이크를 밟을때 마찰열을 줄여주는 브레이크 패드, 브레이크 라이닝, 클러치 라이닝, 클러치 페이싱, 등들도
석면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석면이 위험한 이유는 비산되어 호흡기를 통해 인체내로 유입을하여 질환을 일으키는것인데
이러한 브레이크패드는 비산되는데 도움이 되는 작용을 하는 것입니다.

또 아스텍스, 아미텍스 라는 석고시멘트판이 있는데
많이 보셨을 겁니다.
옛날 학교 교실, 도서실, 음악실, 양호실 등 천장에
갈매기 무늬의 천장재가 있는데
이것이 보통 석면 함유량이 3~6%정도되는 텍스라고 합니다.
일상생활에 녹아있지만 대표적인 석면함유물질이죠

또 많이 사용되어져 온 슬레이트가 있습니다.
심지어 1960~70년대 농어촌의 지붕 개량사업에 주로 많이 이용되어져 왔습니다.
그 당시엔 위험성을 모르던 때라 슬레이트에다가 고기도 구워먹고,
타고 놀고, 부수고 그랬던 지붕재입니다
이런 슬레이트에는 석면 함유율이 무려 8~14%나 됩니다.
전에 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교육을 받을 때 이 슬레이트에 대한 내용을 들었는데
비가올 때, 석면이 빗물에묻어 나온다고합니다.
그게 바닥으로 떨어지고 마르면 다시 비산이 되는것이죠.

다음은 밤라이트 입니다.
많이보셨을텐데 과거 화장실에 밤색으로 된 칸막이가 전부다 석면입니다.
석면 함유율은 10%내외 정도이며, 화장실칸막이 뿐만아니라 벽체,천장재,등 으로도
많이쓰여진 석면재 입니다.
등등 많은 석면들이 있지만 이러한 석면은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해체작업시에 측정을 통해서 알아보는 겁니다.
크게 석면해체작업자를 위한 농도측정과
인근 주민들을 위한 비산농도 측정으로 나뉩니다.

비산농도 측정은 석면해체 제거작업동안 시료채취를 하여,
작업의 안전성을 평가하고 작업을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는 평가입니다.
작업이 완료된 후에 실시되는

이 비산농도의 시료채취는 환경부 석면해체, 제거작업 사업장 주변 석면
비산관리를 위한 조사방법(환경부 고시 제 2012-79)를 따르며, 일반적으로 유효공극 크기 0.8㎛의
MCE여과지의 고유량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 고시에서 지정하는 위치와 높이에서
400~2400L의 공기량을 채취하여야 합니다.

이렇게 비산농도와 석면에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좀 더 자세한 사항을 알고 싶으시면 문의 주시면
친절한 답변 해드리겠습니다.